본문 바로가기

<죄와 벌> 도스토옙스키 : 예민하게 대하자. 사랑하게 될 때까지.

by Summer_bom 2016. 9. 13.

나는 사람을 죽인 것이 아니라, 원칙을 죽인 것이다.

 

아, 문장을 곱씹으며 읽을 단어만큼 도스토옙스키가 존경스러워진다. 깊이에 감동을 느낀다. <죄와 벌>은 도스토옙스키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을 읽기 전에 기대했던 점은 그만의 독특한 ‘묘사’이다. 마치 1인칭시점처럼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의 시시각각 변하는 심정을 모두 드러내서 보여준다. 정말 찰나의 사색까지도 놓치지 않는다. 라스콜리니코프가 살인이라는 행동을 하기 전까지 그 행동을 설명할만한 과정이 너무 풍부해서 어쩔 때는 받아들이기 벅찰 정도다. 그래서 결국엔 굉장히 뜻밖의 관점을 제시하기도 한다. 사랑, 증오, 인간의 선, 정의… 너무 큰 단어라 접근하기 어려울 것만 같았던 거대담론을 새로운 방법으로 내 생각에 심어놓는다.

내가 도스토옙스키를 존경하는 큰 이유는 사고가 확장되기 때문이다. 단순히 다른 생각, 삶을 살아가는 인물에게서 색다르게 보는 것을 넘어서 관점을 비틀어버린다. 그래서 다양한 인물을 보여주며 한 가지 문제에서도 다른 풀이 과정을 제시한다. 한 사람에게 치중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관점을 비틀고 분산시켜 내 생각의 길이 뻗어나간다는 느낌까지 받게 된다.

섬세하면서 날카로운 제인 오스틴과는 대조된다. 도스토옙스키는 날카롭지만 도끼같고, 못같다. 그래서 난 <죄와 벌>에서 주인공이 도끼를 들었을 때 실소가 새어나왔었다. 이보다 완벽한 도구는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도스토옙스키를 낳았다는 것만으로도 러시아 민족 존재는 충분히 정당화될 수 있다고 했던가(베르쟈예프). 내게도 러시아 문학은 위대하다. 

다시 읽을까? 이 질문에서 망설이게 된다. 분명 신선한 충격을 주는 고전이지만, 일단 분량에서 쉽지 않을 뿐더러, 몰입과 긴장을 요구하기 때문에 조금 버거웠다. 게다가 그냥 지나쳐서는 안될 부분이 꽤 많다. 소설의 짜임이 세세하고 밀착되어 있어서, 쉽게 지나쳤다가는 중요한 대목에서 힘들 수 있기 때문이다.

처음 책을 샀던 이유는.. 허세였다. <죄와 벌>이라는 제목이 굉장히 멋드러졌다. 책장에서 구석을 차지하고 있어도 압도감이 느껴진달까. 책을 볼 때마다 당시 느꼈던 새로웠던 감정, 충격, 그리고 생각. 모두 한꺼번에 몰아치며 다가온다. 책장에서 위엄을 뽐낼만 한 그런 책이지.

 

도스토옙스키는 톨스토이와 자주 비교된다. 비슷한 시대를 살기도 했고, 러시아의 대문호인 점도 같다. 하지만 색이 갈리기 때문에 서로에게 비교가 되기 쉬운 상대다. 톨스토이의 책은 아직 다 섭렵하지 못했다.

도스토옙스키는 톨스토이에 비해서 인물의 외적인 설명이 부족하다고 한다. 내적인 설명은 풍부하지만, 인물이 어떤 사람인지 이미지를 만들 요소를 많이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니 다 그랬다. <까라마조프씨네 형제들>에서도 누구하나 인물의 생김새가 또렷히 상상되는 인물이 없다. <죄와 벌>도 마찬가지였다. 그런 점에서 신선함을 느꼈나보다. 소설 속 인물이 어떤 눈동자 색을 가졌는지는 모르지만, 특별한 생각을 할 때 나타나는 ‘눈빛’에 관한 설명이 다른 작가와는 다르다고 느껴졌다.

신선했던 이유은 비단 인물에 대한 색다른 고찰때문이 아니다.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의 거대한 행동 하나가 완성되기까지 필요했던 작은 생각의 출발, 그리고 커져가는 과정에 대해 어쩜 그렇게 설득력있게 나열했는지. 중간엔 몰입이 과했는지, 라스콜리니코프의 위험한 사상에 동조할 뻔했다.

사실 결말에선 그러한 설명이 앞선 사상에 비해 적었다. 그러나 읽다보면 자연히 그가 구원받을 것을 예감할 수 있었다. 그는 그렇게 예정되었던 것이다.

 

 


 

사람들이 제일 두려워하는 것은 무엇일까? 새로운 한 걸음, 자신의 새로운 말.(p.12)

그들 두 사람은 자신들이 치러야만 할 희생을, 그 희생이라는 것을 충분히 계산해 본 것일까? (…) 현명하다고 생각했단 말인가? (p,71)

있는 그대로 단번에 그리고 영원히 운명을 순순히 받아들이든지, 아니면 활동하고 살고 사랑하는 모든 권리를 거부하고, 자신 속에 있는 모든 것을 목 졸라 죽여버려야만 한다! (p.73) 

한 사람의 생명덕에 수천명의 삶이 파멸과 분열로부터 구원을 얻게 되고, 한 사람의 죽음과 수백명의 생명이 교환되는 셈인데, 이건 간단한 계산 아닌가! 

만일 네 자신이 그 일을 결행할 마음을 먹지 못한다면, 거기엔 어떤 정의도 있을 수 없어! (p.102( 

그렇게 단정지을 수 있었던 단 한 가지 이유는 자신의 계획이 <범죄가 아니라는>생각이었다. (p.109) 

그래도 지금 죽는 것보다는 사는 편이 더 낫겠다고 했다지! 살수만 있다면…!(p.231)

그는 다만 불현듯 느끼게 된 강력한 삶의 감각, 이 새롭고도 무한한 감정에 가득 차 있을 뿐이었다. (p.272)

그는 문득 <자기가 살 수 있고, 인생이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자신이 노파와 함께 죽은 것이 아니다>라는 생각을 떠올렸다. (p.275) 

인간은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 14번, 어쩌면 1백 14번의 거짓이론들을 생산해내야 할 겁니다! (…) 거짓말을 하되, 자기 생각을 가지고서 거짓말을 하란 말입니다. (p.294) 

나는 사람을 죽인 것이 아니라, 원칙을 죽인 것이다. (p.400)

당신의 수치와 죄 때문이 아니라 당신의 위대한 고통때문이야. (…) 당신이 죄인인 이유는 다른 것은 제쳐두고라도, 당신이 공연히 자신을 죽이고 팔아먹었기 때문이야.  (p.471)

이 가난한 방에서 영원한 책을 읽기 위해 기묘하게 만난 살인자와 매춘부를 희미하게 비추며, (p.481) 

여기에는 가난한 사람들 특유의 자존심이 개입했는지도 모른다. (p.556) 

어떠한 일이 있어도 지금 당장 어디선가 정의를 찾아보겠다는 막연한 목적을 안고서 말이다. (p.595)

그리고 이 피할 수 없는 의무앞에서 자신이 무력하다는 의식에 그는 고통스럽게 짓눌려 있었다. (p.597)

오랫동안 그에게는 낯설었던 감정이 파도처럼 그의 영혼에 스며들어, 순식간에 그의 마음을 적셨다. 그는 그 감정을 거부하지 않았다. (p.605) 

그러니까 난 나폴레옹이 되고 싶었지. 그래서 죽였어… (p.609) 

더 많은 용기를 내어 일을 감행하는 사람만이 사람들 눈에는 옳아 보이는 거야. (p.613)

나는 그때 알고 싶었던 거야, 어서 알고 싶었어. 다른 사람들처럼 내가 <이>인가 아니면 인간인가를 말이야. 내가 선을 뛰어넘을 수 있느냐, 아니면 넘지 못하는가! 나는 벌벌 떠는 괴물인가, 아니면 권리를 가지고 있는가 ……(p.616) 

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오로지 공기입니다. 공기! 공기! (p.678)  

소냐는 그에게 있어 가차없는 판결, 번복할 수 없는 결저이었다. (p.682) 

그는 다만 느꼈다. 변증법대신에 삶이 도래했고, 의식 속에서 무언가 전혀 다른 것이 형성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p.809)